고흐의 캔버스에 깃든 하나님의 흔적 | ||||||||||||||||||||
<고흐의 하나님> 안재경 지음, 홍성사 펴냄 | ||||||||||||||||||||
| ||||||||||||||||||||
끝없이 계속되는 발작 때문에 파괴되는 심신과 씨름하면서도 끝내 붓을 놓지 않았던 화가. 진실한 사랑을 위해 평생 몸부림쳤던 신앙인. 화상?교사?전도사?화가로서 한 번도 성공을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 그는 끝내 자기 가슴에 권총을 겨누었다. 빈센트의 비극적인 삶을 생각하면 가슴이 저리고 아프다. 그의 삶과 예술을 다룬 글을 읽을 때 빈센트의 상처받은 37년 생애를 생각하며 애도의 감정에 휩싸인다. <고흐의 하나님>, 이 책은 미술 비평가가 아닌 목회자의 글이다. 글쓴이는 네덜란드 화란교회에서 7년간 나그네로서 사역하면서, 평생 나그네로 살다 간 빈센트를 묵상했다. 이 책은 미술 서적이면서 동시에 묵상집이다. 빈센트의 그림과 글을 매개로 우리 신앙과 삶을 조명하는 문장들은 깊고 기품이 있다. “하나님을 아는 좋은 방법은 수많은 것들을 사랑하는 것” 그는 매사 자신의 전부를 걸었다. 매춘부를 측은히 여겨 아이들이 딸린 그녀와 동거했고, 농부들을 그릴 때는 농부와 다를 바 없이 살았다. 또한, 화가들을 위한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하고자 했다. 그가 쓴 편지의 한 구절이 뭉클하다. “나의 유일한 걱정은 ‘내가 어떻게 하면 세상에 유익을 줄 수 있는가?’이다.”
빈센트는 길지 않은 생애를 살면서 스무 군데 이상 거처를 옮겼다. 평생 걸었고 흙먼지로 뒤덮인 그의 구두는 언제나 너덜거렸다. 정처 없는 나그네 삶이었다. 그가 전도사로서 행한 첫 설교의 주제도 ‘나그네의 삶’이었고 자신의 설교대로 살았다. 반 고흐가 남긴 ‘구두 연작’을 일컬어 글쓴이는 “땅에 대한 애착과 그 땅에 뿌리를 박고 질박하게 살아가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찬사”라고 했다. 우리도 삶의 속도를 줄이고 빈센트처럼 발바닥으로 살면서 발바닥으로 글을 써야 한다고 역설했다. 빈센트는 ‘사랑’이야말로 하나님을 아는 최선의 길이라고 믿었다. “하나님을 아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많은 것들을 사랑하는 것이란다”(동생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인상주의가 파리를 휩쓸고 있던 시절에도 그의 시선은 오로지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에 집중되었다. 세상의 가장 낮은 곳을 걷고 의 걸으며 외롭고 힘든 사람들과 하나가 되어 그들을 그렸다. 그가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그림을 그렸던 이유도 그림을 통해서 가난한 이웃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고난 받는 종’의 삶을 기꺼이 수용하고 바보 같은 순종을 마다하지 않았던 빈센트를 두고 글쓴이는 말씀을 육화하는 삶이요, 자신만의 성경을 썼다고 했다. 나아가 우리도 고흐처럼 자신의 삶으로 온 세상을 향해 선포되어야 할 하나님 말씀의 투명한 속살을 드러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름다움의 원천이자 상처받는 존재였던 고흐의 하나님 기독교에 대해서 빈센트는 당시 주류 신앙인들과 생각을 달리했다.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은 그는 성경의 진리는 시대마다 새롭게 번역되어야 한다고 믿었고, “종교는 사라지지만, 하나님은 영원하시다”라는 빅토르 위고의 말을 좋아했다. 만년의 빈센트가 성직자들의 위선적인 모습에 상처를 입고 교회를 떠나긴 했지만 한 번도 하나님을 부정한 일은 없었다. 오히려 영혼의 더 깊은 곳에서 예수를 찬미하고 진실하게 따르고자 했다. 빈센트에게 있어 하나님은 아름다움의 원천이었고, 일상 속에 항상 계시는 분이었으며, 가난한 자들과 함께 상처받는 존재였다. 글쓴이의 말처럼, 빈센트의 신학은 현실에 깊이 뿌리내리지 못한 나 같은 ‘정통’ 신앙인들을 향하여 뼈아픈 소리를 내지른다. 사회주의자로서 자본주의에 저항하고 공동체적인 삶을 꿈꾸었던 빈센트의 생애는, 말만 번드르르할 뿐 실제 생활은 온통 맘몬 체제에 물든 우리를 고발한다. ‘자본주의 신학’에 파묻힌 오늘의 기독교에 대한 글쓴이의 쓴소리다. “개혁된 교회는 계속해서 개혁되어야 하는데 작금의 종교개혁은 교회 안에까지 들어온 자본주의 신학을 몰아내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자본주의가 위로의 방식에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위로를 물질적인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돈을 쥐여 주는 것으로 모든 위로를 대신하려는 것을 본다.” 기독교가 맘몬 체제와 그토록 쉽게 타협하면서도, 다른 종교에 대해서는 도무지 이해하지 않으려는 태도도 지적되었다. 글쓴이는 사람이 종교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종교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언급하며 ‘복음의 외피인 종교적인 전통과 믿음의 양태를 고집스럽게 붙잡고 있는 것’이야말로 우상을 섬기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일갈했다. 나아가 우리나라에 복음이 선포되기 전에 존재하던 다양한 종교들의 역할을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보편 교회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으면서 가장 한국적인, 가장 동양적인 기독교”를 세워 보자고 했다. 고흐의 상처를 통해 나의 상처가 치유되다 <고흐의 하나님>은 고흐에게 덧씌워진 각종 신화를 걷어 내고, 한 사람의 화가이자 진실한 신앙인이었던 고흐의 생애, 그 깊은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끝내 자살로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삶과 직면하는 일은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렇지만, 고흐의 상처와 우리의 상처가 만나는 지점에서 치유의 신비를 경험하게 된다. 고흐야말로 ‘상처 입은 치료자’고 고흐의 하나님은 곧 상처 입은 자의 하나님이다. 과연 우리의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
|
매력적인 인생~